
소비심리가 좀처럼 나아지지 않으면서 경기 불황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유통 대기업 회장님들의 행보가 엇갈리면서 책임경영의 의미가 조명되고 있습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은 흑자전환에도 연봉을 삭감한 반면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은 여전히 적자임에도 불구하고 연봉을 올려 받은 것인데요.
19일 각사가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정용진 회장은 지난해 36억원의 연봉을 받았습니다. 급여 19억8200만원, 성과급 16억2700만원 등이 포함된 금액입니다.다. 이는 전년 대비 2.4% 줄어든 것인데요. 급여는 동결됐고, 성과급이 9000만원 삭감된데 따른 것입니다.
신세계 관계자는 “지난해 3월 회장에 오른 정용진 회장이 녹록지 않은 대내외 경영환경을 헤쳐나가기 위해 솔선수범한다는 자세로 연봉을 줄인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정용진 회장 뿐 아니라 오너 일가도 모두 보수를 줄여 받으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모친인 이명희 신세계그룹 총괄회장과 부친 정재은 명예회장도 급여는 감액하고 성과급은 받지 않으면서 급여가 줄어든 것인데요. 이명희 총괄회장과 정재은 명예회장은 지난해 이마트에서 각각 17억6700만원의 보수를 받았습니다. 이는 전년(12억9800만원) 대비 42.3% 줄어든 액수입니다. 이에 따라 이명희 총괄회장과 정재은 명예회장이 지난해 이마트와 신세계에서 수령한 전체 보수는 전년보다 37.5% 줄었습니다.
정용진 회장의 동생인 정유경 ㈜신세계 회장 역시도 전년보다 2.4% 줄어든 35억9600만원을 수령했습니다.
신세계 관계자는 “회장단의 이번 연봉 감액은 회사의 쇄신 노력에 앞장서겠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신세계그룹 오너 일가의 연봉 감소는, 신세계그룹이 흑자로 돌아서는 등 성과를 낸 상황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는 평가입니다.
이마트는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71억원으로 흑자 전환했습니다. 전년 대비 940억원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마트 주요 자회사 SSG닷컴, SCK컴퍼니(스타벅스), 신세계프라퍼티(스타필드) 등도 실적 반등을 이뤘고, 신세계건설도 영업손익을 538억원 개선하며 손실 규모를 축소했습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현대백화점그룹은 여전히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지만 오너의 연봉은 올렸습니다.
정지선 회장은 지난해 50억4400만원의 보수를 받았습니다. 급여 37억200만원, 상여 13억4100만원, 기타 근로소득 100만원 등이 포함된 액수인데요. 이는 전년 47억4000만원보다 6.4%(3억400만원) 늘어난 것입니다. 여기에 배당으로 5억7000만원도 받습니다.
정지선 회장의 동생인 정교선 부회장은 현대백화점에서 전년보다 2.1%(3700만원) 늘어난 17억6700만원을 수령했습니다.
현대백점그룹은 여전히 적자상태입니다.
현대백화점은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은 4조1876억원으로 0.5% 줄었고, 영업이익은 2840억원으로 전년보다 6.4% 감소했다고 공시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7억5000만원으로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별도기준 백화점은 전년보다 0.8% 영업이익이 늘었지만 면세점과 가구‧매트리스 계열사 지누스 부진의 영향이 컸습니다. 면세점은 영업손실 288억원으로 적자를 유지했고, 지누스는 53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면서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백화점 업계에서 통상임금 충당금을 반영하고도 전년 기준으로 유일하게 영업이익이 증가했다”며 “당기순이익이 적자를 기록한 것은 현대홈쇼핑 보유 주식 매각에 따른 장부가액 평가손실을 반영한 회계기준상 계산일 뿐 실제 현금 흐름과는 무관하다”고 밝혔습니다. [뉴스보증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