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역대급 실적으로 임직원 보수 크게 늘어

사정당국의 전방위적인 압박을 받고 있는 두나무의 경영진과 직원들이 지난해 돈잔치를 벌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송치형 의장은 1000억원이 넘는 보수를, 직원들도 2억원 수준의 연봉을 받았다. 트럼프 효과로 인한 가상자산 시장 실적 호조에 따른 덕이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두나무의 송치형 회장은 지난해 62억244만2000만원을 보수로 받았다. 연봉이 높기로 유명한 금융지주 회장 가운데 최고 연봉을 받은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22억7400만원)보다 3배 가까운 보수다.
특히 송치형 회장은 배당까지 포함하면 지난 한해에만 1100억원 가량의 금액을 보수로 챙겼다.
두나무는 지난해에 중간배당과 결산배당 등 두 번의 배당을 실시했다. 중간배당은 보통주 1주당 2932원으로 총 999억7400만원이다. 결산배당은 1주당 8777원을 책정해 총 3043억원 규모다. 중간배당과 결산 배당을 합치면 지난해(1주당 2937원)의 4배 가량 늘어난 배당으로, 역대급이다. 현금배당 상향은 40.60%로, 전년 12.37%의 3배가 넘는다.
이로써 지난해 현금배당한 총액은 약 4000억원에 이른다. 지난해 말 기준 송치형 회장의 지분율이 25.53%이니, 이를 계산하면 송치형 회장이 지난 한해에 받은 배당 총액은 1021억원 정도다. 여기에 지난해 받은 62억원의 보수를 더하면 송치형 회장이 받은 지난해 총액은 1083억원이다.
두나무의 2대 주주인 김형년(지분 13.11%) 부회장도 보수(42억1480만원)와 배당(약 535억원)을 합해 총 577억원 가량을 수령했다.
이번 역대급 배당은 지난해 12월 7일 임시주총에서 자본준비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한 것을 바탕으로 이뤄졌다. 전환된 금액은 3000억원이다. 배당 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사전 정지작업을 한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두나무는 전년에도 2000억원을 전환해 배당을 늘린 바 있다.
자본준비금을 전환해 배당하는 방식은 주주의 이익을 위해 주로 활용된다. 배당금을 받은 주주는 소득세를 내지 않아 수익률이 높고 금융소득종합과세를 피할 수 있다. 때문에 고액 배당을 받아 높은 세율을 적용받는 대주주에 유리하다.
두나무 직원들도 두둑한 보수를 챙겼다. 지난해 두나무 직원 624명이 받은 총 보수액은 1249억원으로, 1인당 1억9900만원이 연봉으로 지급됐다. 연봉이 높기로 유명한 4대 시중은행의 평균 연봉 1억1600만원의 2배 수준에 이른다.
이같은 보수에는 역대급 호실적이 바탕이 됐다. 두나무는 지난해 전년대비 85.1% 늘어난 1조186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한편 두나무는 연초부터 각종 악재에 사정당국의 전방위적 압박을 받고 있다.
올 2월에 서울지방국세청 국제거래조사국 요원들이 사전예고도 없이 두나무 본사에 투입해 세무관련 자료들을 예치해갔다. 이번 세무조사에 국제거래조사국이 투입돼 역외탈세 의혹을 포착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국제거래조사국은 해외거래 비중이 높은 기업, 역외탈세 의심 기업 등을 상대로 정기‧비정기 세무조사를 진행하는 부서다. 두나무에 대한 이번 세무조사는 비정기조사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업계는 국세청이 업비트가 해외 계열사를 통해 역외탈세 혐의를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두나무가 운영하는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가 송치형 회장 등 경영진의 변호사비 백억원대를 회삿돈으로 지출한 사실을 확인한 국세청이 특별세무조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국세청의 특별세무조사는 자전거래 혐의로부터 시작됐다. 국세청과 검찰에 따르면 업비트 송치형 의장 등 3명은 지난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허위 법인 계정을 만들어 1221억원 규모의 자산을 예치하고 4조2000억원대의 허위 주문을 넣는 방식으로 이득을 취한 혐의다.
법원은 핵심증거가 위법으로 수집된 점을 문제삼아 무죄 판결을 내렸다.
하지만 재판과정에서 사용된 수백원의 변호사비가 문제가 됐다. 국세청은 개인재판의 변호사비를 회사가 대납해줌으로써 그만큼 회계상 이익이 감소했고, 법인세가 부당하게 줄었다며 특별세무조사를 벌인 것이다. 업비트 측은 임직원의 적법한 직무 수행에 대한 소송 비용인 만큼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금융정보분석원(FIU)은 2월 업비트에 대해 미신고 가상자산사업자와의 거래 금지 의무 위반으로 3개월 영업 일부 정지 처분을 내리기도 했다. [뉴스보증 사이트]